본문 바로가기
뉴스

“캄보디아의 그림자: 사이버 사기와 인신매매의 땅”

by 식빵브라더 2025. 10. 17.
반응형

출처 KBS 뉴스

 

 

 

1) “좋은 일자리”라던 DM의 끝

10월 중순, 한국인 대학생의 피랍·사망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국-캄보디아 당국 회담과 대규모 송환이 급박하게 진행됐다. 서울은 긴급 대표단을 프놈펜에 보내 공조를 논의했고, 주말에는 캄보디아에서 온라인 사기에 연루(혹은 강제 동원)된 한국인 수십 명을 전세기 편으로 돌려보내 조사할 계획이다. 이것은 개인 비극이 아니라 구조적 범죄의 ‘빙산의 일각’이었다. 


2) 범죄의 뼈대: ‘스캠센터’는 공장이다

스캠센터는 외형상 ‘IT·마케팅 회사’지만 실상은 온라인 사기 공장이다. 채용 미끼(고연봉·숙식·비자 지원) → 입국 직후 여권·폰 압수 → 외부차단 → Pig-butchering(돼지 도살형) 투자·연애 사기 대량 수행. 피해금은 암호화폐로 세탁돼 흔적이 흐려진다. 인신매매·강제노동·감금·고문이 동시에 얽힌 복합형 인권침해가 산업 규모로 굴러간다. 국제앰네스티는 2025년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전역 53개 확인된 컴파운드에서 노예화·고문·아동노동이 벌어졌다고 적시했다. 


3) ‘얼마나 큰가’: 숫자로 본 스케일

  • 거점과 인신매매: 인터폴은 2025년 범죄동향 업데이트에서, 피해자 출신국이 66개국에 이르고 동남아가 여전히 허브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확산은 이미 “대륙 단위”다. 
  • 수익 규모: 동남아 사기산업의 추정 수익은 수십억~수백억 달러로 추정된다(기관별 편차 있음). 정책 분석에선 연 $43.8B 수준이 거론되며, 국경·마약·무기 거래 등 다른 범죄 생태계를 키운다는 지적이 나온다. 

4) 한국과 연결된 지금, ‘왜’가 중요하다

이번 한국인 사망 사건 이후, 여행금지(코드 블랙) 지역 지정과 가짜 구인광고 단속, 송환-조사 작업이 속도를 냈다. 캄보디아 내 한국인 관련 인원은 1,000명 규모로 추정된다는 당국자 발언도 나왔다. 한편 현지 구조 활동가들은 “모두가 피해자만은 아니다”—처벌을 피해 다시 ‘자발 귀속’하는 사례도 있다고 증언한다. 빈곤·빚·성과압박이 범죄 생태계와 맞물리는 회전문이라는 냉정한 현실도 드러난다. 


5) 국제 공조의 분기점: ‘프린스 그룹’ 제재·기소

사흘 전, 미 재무부는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Prince Group) TCO 관련 146개 대상에 대해 사상 최대 규모의 동시 제재를 발표했다. 핵심 인물 첸즈(Chen Zhi) 는 강제노동 기반의 가상자산 사기 네트워크 운영 혐의로 지목됐고, 동시다발적 압수·동결 조치가 뒤따랐다. 이어 미 법무부는 약 150억 달러 상당 비트코인에 대한 사상 최대 몰수 소송과 함께, 강제노동 스캠 컴파운드 운영 관련 기소 사실을 공개했다.
캄보디아 정부는 이틀 전 “공정한 절차”를 요구한다며 반발했지만, 국제 여론은 국가 차원의 묵인·부패를 꾸짖고 있다. 


6) 왜 뿌리 뽑기 어려운가: ‘돈·권력·경계’

  • 부패와 카르텔: 보안업체·지방권력·경찰 일부가 유착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는다. 단속이 쇼로 끝나고, 피해자가 오히려 ‘불법체류자’ 취급을 받는 경우도 보고됐다. 
  • 국경의 유동성: 미얀마·라오스·태국과의 경계가 느슨해 거점이 압박 → 이동 → 재개장하는 회피 패턴을 보인다(유엔·시빅 싱크탱크 분석 공통). 
  • 노동·채무 구조: ‘채무노동(보증금·패널티)’ 장치가 탈출을 막는다. ‘성적 미달’엔 벌금·폭력이 돌아가며, 결국 사람을 자산처럼 굴린다. 

7) 현장 묘사: 메시지 200건·스크립트·감시 카메라

다수 생존자 진술은 놀랍도록 비슷하다. ‘온보딩’ 첫날, 로맨스·투자 유도용 스크립트와 CRM이 지급된다. 매일 정해진 수(예: 수백 건)의 대화를 열고, LTV(평생가치) 를 높이는 심리전 교육을 받는다. KPI를 못 채우면 수면·식수 제한, 전기고문 같은 형벌이 따른다. 감시카메라는 휴게시간까지 추적한다—사람이 ‘성과를 내는 도구’로 환원된 풍경이다. 


8) 개인이 당하지 않으려면: 체크리스트 7

  1. 비정상 고연봉·경력 무관 채용, 숙식·비자 일괄 제공은 경고등
  2. SNS·메신저 전용 채용(회사 도메인·주소·전화 미공개) 회피
  3. 계약서에 벌금·보증금·여권 보관 조항이 있나 확인
  4. 입국 전 현지 공관·노동부서에 회사 실재 여부 확인
  5. 가상자산 투자·환전 역할 요구 시 즉시 중단
  6. 가족·지인에게 실시간 일정 공유(연락 끊기면 바로 신고)
  7. 채용 미끼를 받으면 앰네스티·인터폴 경보 사례를 먼저 검색
    (위는 2025년 공조·경보 자료에 근거한 일반 수칙) 

9) 전망: ‘돈줄’을 죄는 제재, 그다음은?

이번 OFAC 제재 + DOJ 기소는 업계의 ‘돈줄과 환전 허브’를 직접 겨냥했다는 점에서 분기점이다. 일정 기간 온체인 자금세탁 속도가 둔화되고, 위장 법인/은행-가상자산 브리지들이 연쇄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거점 이동신규 리쿠르팅 파이프라인(남아시아·아프리카)이 열릴 수 있어, 국제 공조의 지속성이 관건이 된다. 


10) ‘모두의 문제’가 된 이유

스캠센터는 기술·빈곤·부패가 결합된 현대형 범죄 산업이다. 피해자는 투자자 한 명이 아니라, 사기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까지 포함한다. 한 사람의 DM, 한 통의 링크 뒤에는 누군가의 여권·자유·몸이 있다.
이번 사건이 던진 메시지는 분명하다. “무지와 방치가 범죄를 키운다.” 지금의 제재·수사는 그 첫 고리다. 관심을 멈추지 않는 것—그게 이 산업을 약화시키는 가장 느리지만 확실한 방법이다.

 

반응형